사랑방에서 소근소근/비처럼 음악처럼
지는 낙엽을 지켜보며
알 수 없는 사용자
2007. 11. 6. 18:04
갑자기 추워진 가을 날씨로 나뭇잎 단풍은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다. 아침 출근길에 지나게 되는 예술의 전당 앞 도로에 있는 비슷한 크기의 느티나무 가로수도 며칠사이에 아침 햇살을 받아 황금 빛을 뽐내고 있다.
성질 급한 나무는 벌써 거의 잎을 다 떨구었다. 그 주변의 나무가 크기도 비슷하고 심은 시기도 비슷한 걸 보면 아마 같은 나무의 아들, 손자 일지도 모르는데, 겨울이 오면 결국 잎을 모두 떨구게 되겠지만 어떤 나무는 아직 푸르름을 고집하고 있는 것도 있는 걸 보면 사람의 삶도 별로 다를 바 없다는 하는 생각이 든다.
60년을 살던 80년을 넘겨 살던 결코 길지 않은 삶을 이어 가기 위해 버둥거리며 살아 본들 시기만 조금 다를 뿐 낙엽지듯 결국엔 마감을 해야 하니 말이다. 같은 묘목장에서 자랐더라도 심겨지는 위치에 따라 살아야 할 삶이 정해지는 나무는 "Let it be"를 할 수 밖에 없고, 사람은 그렇지 않다고 할 수 도 있겠지만, 넓게 보면 다를 바가 있을까?
교육열이 과하다느니 지나치게 사교육비를 쓰고 있다느니 하면서도 누구나 능력이 되는 한 전력을 투구해서 자식들을 가르치려 한다. 무엇이 될 싹인지 알아볼 겨를도 없이 걸음마를 뗄 정도가 되면 남보다 뭐라도 일찍, 많이 가르치려고 목숨 걸고 눈에 불을 켜는 것이 우리 나라 교육 현실인데, 자식의 앞날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이 교육일꺼라는 숙제를 놓고 돈으로라도 해결해 봐야하는 부모들을 지켜보려니 답답하기만 하다.
윤도현이 부른 "나무"라는 노래의 가사에도 있듯이 넓은 하늘을 꿈꾸며 온 세상을 품에 가득 안아 보고파 세상을 살아가다가 나만큼의 그늘을 드리며 살아가면 되는 것을 너무 많은 걸 이루게 되기를 기대해야 하는 것일까?
다음 달이 되면 나도 어느새 할아버지가 되고, 의무이거나 의지이거나 자식을 잘 키워 보려고 애쓰는 모습을 지켜봐야 한다. 그 녀석도 세상에 나오자마자 정도에 차이는 있겠지만, 예외 없이 교육의 구렁텅이에 빠지게 될 것이다.
인생살이에 어찌 정답이 있을까, 다만 바른길을 가도록 제대로 가르쳐야 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이끌어 주기를 바랄 뿐이다.

60년을 살던 80년을 넘겨 살던 결코 길지 않은 삶을 이어 가기 위해 버둥거리며 살아 본들 시기만 조금 다를 뿐 낙엽지듯 결국엔 마감을 해야 하니 말이다. 같은 묘목장에서 자랐더라도 심겨지는 위치에 따라 살아야 할 삶이 정해지는 나무는 "Let it be"를 할 수 밖에 없고, 사람은 그렇지 않다고 할 수 도 있겠지만, 넓게 보면 다를 바가 있을까?
교육열이 과하다느니 지나치게 사교육비를 쓰고 있다느니 하면서도 누구나 능력이 되는 한 전력을 투구해서 자식들을 가르치려 한다. 무엇이 될 싹인지 알아볼 겨를도 없이 걸음마를 뗄 정도가 되면 남보다 뭐라도 일찍, 많이 가르치려고 목숨 걸고 눈에 불을 켜는 것이 우리 나라 교육 현실인데, 자식의 앞날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이 교육일꺼라는 숙제를 놓고 돈으로라도 해결해 봐야하는 부모들을 지켜보려니 답답하기만 하다.
윤도현이 부른 "나무"라는 노래의 가사에도 있듯이 넓은 하늘을 꿈꾸며 온 세상을 품에 가득 안아 보고파 세상을 살아가다가 나만큼의 그늘을 드리며 살아가면 되는 것을 너무 많은 걸 이루게 되기를 기대해야 하는 것일까?
다음 달이 되면 나도 어느새 할아버지가 되고, 의무이거나 의지이거나 자식을 잘 키워 보려고 애쓰는 모습을 지켜봐야 한다. 그 녀석도 세상에 나오자마자 정도에 차이는 있겠지만, 예외 없이 교육의 구렁텅이에 빠지게 될 것이다.
인생살이에 어찌 정답이 있을까, 다만 바른길을 가도록 제대로 가르쳐야 한다는 마음가짐으로 이끌어 주기를 바랄 뿐이다.